연어2021. 4. 25. 21:40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8l2IetCuMTE

# Blaustein pointed her finger at me.

  "What she was thinking was how she was being framed to take the heat because the FBI couldn't find its damn way out of a (A)[      ] bag and needed to hang all this on someone," she accused.

  "I see you read the paper."

# 빈칸 (A)에 본문에 있는 한 단어를 찾아 넣으시오.

[해석] 블라우슈타인은 나에게 손가락질을 했다.

   "그녀가 생각하고 있었던 것은 어떻게 자신이 책임을 뒤집어쓰게 되었는가 였죠. FBI는 졸라 무능해서 이 모든 것을 덤터기 씌울 누군가가 필요했었기 때문이었죠."라고 그녀는 비난을 했다.

   "신문을 읽으셨구먼요."

[정답] (A) : paper

 

[어휘 또는 표현]

be framed : 누명을 쓰다

take the heat : 책임을 뒤집어쓰다

hang ~ on someone : (비격식) [책임·죄를] (사람에게] 전가하다, 씌우다

[해설]

[can't find one's way out of a paper bag]

무능해서, 약해 빠져서 못하다

'bag'은 가방 외에도 다른 뜻이 있다. '(plastic) bag'에서는 '(비닐) 봉지'로 사용된다. '(brown) paper bag'에서는 '(노란) 종이봉투'로 사용된다. 햄버거와 프렌치프라이를 넣어 줄 때 흔히 사용하는 봉투를 말한다.

'find one's way out of ~'는 '길을 찾아서 나간다'라는 뜻이지만 찾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나가게 된 것'이 중요하다. 'can't find one's way out of ~'는 '나가지 못하는 것'이 중요하다. 얼마 전 "쌈, 마이 웨이"라는 드라마 타이틀이 있었다. 영어 타이틀이 'fight for my way'라 되어 있었는데, 그냥 찾아 나가면 'find my way out of'이고 싸워서 나가면 그냥 'fight my way out of'로 'for'는 불필요하다.

He can't find his way out of a (wet) paper bag.

'종이봉투도 (뚫고) 나가지 못한다.'라는 뜻이다. 원래 젖은 종이는 뚫고 나가기가 더 쉬워서 'wet'를 쓰기도 하지만 지금은 보통 생략한다. 이 표현은 '허약성'이나 '어리석음'으로 못하는 것을 나타낸다.

He can't fight his way out of a paper bag. "그는 근성이 없어서 뚫고 나갈 수가 없다."

'fight'를 사용할 경우 허약성을 더 강조하는 표현이 된다.

You couldn't fish your way out of a paper bag. "넌 낚시는 꽝이다."

'fish'를 사용하면 낚시라는 분야로 한정한 것이다.

She couldn't act her way out of a paper bag. "그녀는 연기는 꽝이다."

'act'는 연기력의 분야로 한정한 것이다.

My boss is so clueless, he couldn't schedule his own way out of a paper bag.

"내 보스는 아주 무지해서 그 쉬운 일정 잡는 것도 못 한다."

clueless : 단서가 없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 (속어) [사람이] 무지한, 어리석은

[사람이 봉투 속에 들어갈 수는 없기 때문에 이 표현은 상징적인 것이고 이 점을 제외하면 상식적으로도 이해가 되는 표현이다.]

[본문]

the FBI couldn't find its damn way out of a (A)[paper] bag

'FBI는 졸라 무능해서'

Posted by 연우리
연어2021. 4. 24. 08:4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dfrSRD1Pjo4

#   It did not take her long to ferret out the most secluded public phone in the building. As soon as she was sure that Ray was well on his way home, she would call Jerry. Knowing how limited her pocket money was, he would call her right back and they would chat until it was time for him to get ready to leave for the club.

   A sure sign of their deepening relationship was the fact that they could talk endlessly about everything--and nothing. She would tell him about what she was studying, and he went to great lengths to protest that it was all too far above his head. Yet by the time she had explained things to him in (A)[    ] strokes, she was sure he understood.

 

#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그녀가 건물에서 가장 외진 공중전화를 찾아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레이가 집으로 한참을 간 것을 확인하자마자 그녀는 제리에게 전화를 하게 된다. 그녀의 주머니 잔돈이 얼마 안 남은 것을 알았기에 제리는 바로 다시 전화를 해서 제리가 (테니스) 클럽에 갈 준비를 해야 할 때까지 둘은 수다를 떨었다.

   그들의 관계가 깊어 간다는 분명한 징후는 그들이 모든 것 그리고 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해 끝없이 얘기할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녀는 그에게 자신이 무엇을 연구하고 있는지에 대해 말하곤 했고 그는 그건 심지어 자기 머리로는 이해가 아주 불가능한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녀가 그에게 개괄적으로 뭔 일인지 설명을 하고 나면 그녀는 그가 이해했음을 알았다.

[정답]   (A) : broad

 

[어휘 또는 표현]

ferret [férit] : [동물] 흰 담비; 탐색자, 탐정; [토끼 등을] (흰 담비를 시켜 굴에서) 몰아내다; [일반적으로] 몰아내다; [사실·비밀·범인 등을] 캐내다, 찾아내다[out]; 뒤지다, 찾아 헤매다

go (to) great lengths : 무슨 짓이라도 하다, 어떤 노고[고생]도 마다하지 않다

[해설]

[in broad (brush) strokes]

개괄적으로, 대략적으로 : If something is described or defined with broad stokes, then only an outline is given, without fine details.; in general terms rather than in detail  [붓질을 넓게 대략적으로 칠 하는 데서]

I don't need every detail of the event — just tell me about it in broad brush strokes.

"사건의 세부 사항 다 필요 없다. 그냥 개괄적으로 말해라."

Describe your idea in broad strokes, just so I can get a sense of it.

"네 아이디어를 개괄적으로 말해라. 그냥 내가 이해할 수 있도록."

The speech will lay out in broad strokes the two candidates' differing approaches towards how best to stimulate the economy.

"경제에 활기를 가장 잘 부여하는 두 후보자의 상이한 접근법을 연설은 대략적으로 풀어놓을 것이다."

[본문]

Yet by the time she had explained things to him in (A)[broad] strokes, ~

"하지만 그녀가 그에게 개괄적으로 뭔 일인지 설명을 하고 나면, ~"

Posted by 연우리
연어2021. 4. 22. 20:2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6KItHe_kCbc

#1.  "We know she mailed her latest letter from a 10036 zip code, which is Times Square. The postdate is June tenth, yesterday, Tuesday."

  "The day she escaped."

  "Yes."

  "And we still don't know how she did that."

  "We still don't know," he said. "It's as if she beamed herself across the river."

  "No, it's not like that," I said, weary and out of (A)[    ]. "Someone saw something and someone probably helped her. She's always been skilled at getting people to do what she wants."

 

#2.

Robert : Hey Marty. How's it going?

Marty : Couldn't be better! How about you? How are you?

Robert : Oh, I guess I'm okay. I just feel a little out of (B)[     ] today.

Marty : Really? Are you sick?

Robert : No, physically I feel fine. I just woke up feeling sort of depressed and grouchy. Maybe I just need to get some more sleep.

Marty : You're probably right. I also noticed you haven't been eating as healthily as you did in the past. Maybe you need to change your diet as well.

Robert : That's a possibility, certainly.

Marty : Well let me know if I can do anything to help.

Robert : Thanks. I think I'll just take a quick nap.

 

#3.  Comrade Stalin was just finishing a pleasant dinner with his henchmen Beria, Malenkov, Bulganin, and Khrushchev in the residence at Krylatskoye, when he received news that, basically, Vladivostok didn't exist any longer, after a fire that had started in a container of blankets had gone amok.

    The news made Stalin feel really out of (C)[     ].

   Stalin's new favorite, the energetic Nikita Sergeyevich Khrushchev, asked if he might be permitted to give a piece of good advice on the matter, and Stalin lamely answered that yes, Nikita Sergeyevich certainly might.

 

#  빈칸 (A)와 (B)와 (C)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를 #2.에서 찾아서 적합하게 바꿔 넣으시오.

 

[#1. 해석] "게가 최종 편지를 우편 번호 10036에서 보냈다는 것을 알아. 타임스 스퀘어. 소인은 6 월 7 일, 어제, 화요일이지."

   "게가 도망친 날이지."

   "맞아."

   "그리고 우린 어떻게 그랬는지 여전히 모르고 있지."

   "우린 여전히 모르지요. 마치 광선처럼 강을 건넜던 거 같아요."라고 그는 말했다.

   "아니오, 그건 그렇지 않아요. 누군가가 목격해서 아마도 겔 도왔겠지요. 항상 사람들을 설득해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하게 하는 데 선수잖아요."라고 지치고 초조해하면서 나는 말했다.

[#2. 해석]

로버트 : 헤이 마티. 잘 지내요?

마티 : 최고죠. 당신은 어때요? 좋은 신가요?

로버트 : 오, 전 괜찮아요. 그저 약간 기운이 없어요.

마티 : 정말요? 아프신 거 아닌지?

로버트 : 아뇨, 몸이 괜찮아요. 그저 일어나서 약간 우울하고 언짢었어요. 어쩌면 그냥 잠을 더 자야 할까 봐요.

마티 : 맞아요. 내 보니까, 전처럼 잘 먹지도 않데요. 어쩜 먹는 것도 바꿔야 할 듯싶어요.

로버트 : 그럴 수도 있지요. 확실히.

마티 : 뭐, 내가 도울 수 있는 거 있으면 알려줘요.

로버트 : 고마워. 그냥 급히 낮잠을 자야 할거 같아.

[#3. 해석]  스탈린 동지는 그의 부하들인 베리야, 말렌코프, 불가닌, 그리고 후루시초프와 크리라츠코예의 저택에서 즐거운 저녁을 막 마치고 있었는데 그는 소식을 들었다. 기본적으로 블라디보스토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소식이었다. 담요 컨테이너에서 시작된 화재가 난리가 돼버린 후에 말입니다.

   이 소식은 스탈린을 정말 기분이 안 좋게 했다.

   스탈린의 새로운 총아인 정력적인 니키타 세르게예비치 후루시초프는 자신이 이 문제에 대해 조언을 해도 되겠냐고 묻게 되고 스탈린은 그저 그래보라고 대답했다.

[정답]    (A)와 (B)와 (C) : sorts

 

[어휘 또는 표현]

The day (   ) she escaped. (가장 비격식 'informal' 한 형태)

= The day on which she escaped. (가장 격식체)

= The day when she escaped. (관계 부사 사용)

= The day that she escaped. ('that'을 사용하기도 한다.)

beam : [무선] [신호 전파를] 발사하다; 빛나다; 염력으로 이동하다

Couldn't be be better

의미상 긍정 최상급 '더 좋을 수 없어.', '최고야'의 뜻이다.

grouchy [gráuʧi] : (비격식) 기분이 언짢은, 토라진, 샐쭉한, 시무룩한; 성마른  : (O F groucher : to grumble, murmur) [어원 불명]

sort of : 얼마간, 다소; 상당히, 어쩐지

henchman [hénʧmən] : 갱의 부하, 깡패의 앞잡이, 부하; 정치상의 지지자, 추종자; 심복  : (O E hengest : stallion (씨받이용 수컷, 종마) + man : groom(마부, 궁내관)) [말 손질하는 놈에서]

go amok : 난리가 나다

lamely : 절룩거리며; 불충분하게; 설득력 없이, 부자연스럽게

[해설]

[out of sorts]

(비격식) 기운이 없는, 의기소침한; 몸이 불편한, 병이 난; (기분이) 언짢은, 초조한; [인쇄] 한 벌의 활자에서 어떤 종류의 글자가 빠진 : in an irritable, grouchy, or unhappy mood; not feeling well or in good spirits; grumpy and irritable ['out of humor'도 비슷한 뜻인데 인쇄에서 '몇몇 종류가(sorts) 빠진 듯한'에서 왔다는 설도 있지만 인쇄업 이전에도 사용된 표현이어서 라틴어 'sortem(condition)'에서 유래했다고도 하나 확실하진 않다.]

I think something is bugging John, because he's been rather out of sorts lately.

"내 생각에 뭔가 존을 괴롭히고 있어.  겐 최근 다소 언짢아하고 있으니까."

After living in Florida for so long, these awful Minnesota winters leave me feeling out of sorts.

"플로리다에서 오래 살아서 이 끔찍한 미네소타의 겨울은 나를 기운 빠지게 했다."

I've been out of sorts for a day or two. I think I'm coming down with something.

"하루 이틀 몸이 안 좋네. 뭔가 걸릴 거 같아."

'sort of depressed'에서 'sort'를 찾아서 'sorts'로 바꿔서 넣으면 된다.

[본문]

"No, it's not like that," I said, weary and out of (A)[sorts].

"아니오 그건 그렇지 않아요."라고 지치고 초조해하면서 나는 말했다.

I just feel a little out of (B)[sorts] today. "오늘 전 그저 약간 우울하고 언짢었어요."

The news made Stalin feel really out of (C)[sorts]. "이 소식은 스탈린을 정말 기분이 안 좋게 했다."

Posted by 연우리
연어2021. 4. 21. 19:3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0mS1qcJMlOk

#1.  "Hey, did you see anybody go down to my room?"

  He hiked his shoulders and shook his head.

  "Nobody?"

  "Only ones I seen around was that lady that was with you, and you. That's it."

  I looked at him for a moment, waiting for more, but he said his (A)[     ].

  "Okay."

 

#2. Whiteside stared, his face cut from stone. Then he spoke.

  "Well, I've said my (B)[      ]," he said, sliding to the end of the booth.

  "I don't expect to see you around after you're done. Let's just leave it at that."

 

# 빈칸 (A)와 (B)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헤이, 누군가 아래로 내 방으로 오는 것 봤어요?"

  "그는 어깨를 들어 올리며 머리를 흔들었다."

  "아무도 없었어요?"

  "내가 주변에서 본 유일한 사람은 당신과 함께 있던 숙녀와 그리고 당신이죠. 그게 다죠."

  나는 그를 잠깐 쳐다보며 더 말하길 기다렸지만 그는 간단하게 자기 의견은 말했다.

  "됐지요."

[#2. 해석] 화이트사이드는 응시하는데 얼굴은 돌에서 잘라낸 듯했다. 그러더니 그는 말을 했다.

  "뭐, 나는 내 할 말을 했어."라고 그는 말하면서 식당 부스의 끝으로 미끄러져 갔다.

  "난 자네가 식사를 마친 후에 근처에 보이는 거 원치 않아. 그쯤 해두자. 

[정답]   (A)와 (B) : piece

 

[어휘 또는 표현]

Okay. = OK. ['all korrect'와 '0 killed'를 비롯하여 여러 설이 있지만 정설이라 할만한 것이 없다.]

A : I'll pay you back tomorrow. "내일 갚을게."

B : OK, no problem. "좋아, 문제없어." (all right; satisfactory)

A : Could you pick me up from work? "퇴근할 때 픽업해줄 수 있지?"

B : OK, what time? "좋아, 몇 시에?"

Okay, let's go. "그렇다면, 갑시다."

Okay then, if you're ready we'll start. "그러면 좋아요. 준비되면 우리는 출발한다."

Okay, I'll do it. "좋아요, 제가 하죠." (acceptable)

You need to add more vinegar, OK? "식초 더 넣는다는 거지, 그렇지?" (correct?)

I'll see you at 6:30, okay?  "6 시 30 분에 만나는 거야, 그렇지?"

Is it okay if I bring a friend to the party? "파티에 친구 한 명 데리고 와도 괜찮죠?" (acceptable)

If it's okay by[with] you, I'll come over tomorrow instead. "네가 괜찮으면 내일 건너가도록 하죠."

Are you OK?  You look very pale. "너 괜찮아? 아주 창백해 보이는데." (feeling well?)

I'm not okay with it. (반대 의견) "난 그거 아닌데."

Okay, go to hell! (분노) "됐지요, 지옥에나 가시던지."

Okay? (놀라운 것을 듣고 의심) "그렇다는 말이죠?"

[leave it at that]

그 정도로 해두다  : to take no further action or say nothing more about something; to leave a situation as it is

Let's not spend too long on this. Let's just put on a few finishing touches and leave it at that.

"이거 너무 오래 시간 들이지 말자. 몇 개 마무리만 더 하고 그쯤 해두자."

I can't say much about what happened in the meeting, but I'll just tell you that Frank won't be coming in tomorrow and leave it at that"회의에서 뭔 일이 있었는지 자세히 말할 순 없지만 프랭크가 내일 오지 않는다는 건 말할 수 있는데 그쯤 해두자." 

[해설]

[say / speak one's piece]

자기의 의견을 말하다 : to say what one wants to say; to express one's opinions or ideas; to say everything about a particular matter without being interrupted, although people may be wanting to express opposing views [★★ 피자 조각이(piece) 다 모이면 피자 한 판이 되듯이 여러 사람이 참여하는 대화에서 라면 여러 사람의 의견 조각을 다 합치면 전체 대화가 되는 데서, opinion piece, or think piece]

I'll answer your question when I've said my piece. "내가 의견을 말하고 난 후에 네 질문에 답변할게."

You will be all given a chance to say your piece at the meeting tonight.

"오늘 회의에서는 여러분 모두가 의견을 말할 기회가 주어질 겁니다."

Look, just say your piece and get out of here. "이봐요, 그냥 의견을 말하고 가세요."

Look, just give me five minutes to speak my piece, and then I'll leave you alone.

"이봐요, 그냥 의견을 말하게 5 분을 주세요. 그러면 간섭하지 않을게요."

You had your chance to speak your piece--now it's Sarah's turn.

"당신은 의견을 말할 기회를 가졌어요. 이제는 사라의 차례에요."

[hold / keep one's peace]

침묵을 지키다, 잠자코 있다  : to keep silent; to stay quiet about one's objections. This is most often heard in marriage ceremonies. [ㅎ (화나도) 말 안 하면 평온(peace) 하고 침묵(peace)을 유지하는 겁니다.]

If anyone here believes this couple should not be married, let them speak now or forever hold their peace.

"이 자리에서 이 커플이 결혼하면 안 된다고 믿는 분이 있으면 지금 말씀하시고 영원히 침묵하시오."

Just hold your peace if you don't have anything constructive to add.

"덧붙일 건설적인 것이 없다면 그냥 잠자코 있으세요."

I knew that anything I said would just make her angry, so I decided to hold my peace.

"나는 내가 말하는 어떤 것도 그녀를 화나게 할 것을 알았고 그래서 잠자코 있기로 결정했다."

He told her to hold her peace until he had finished.

"그는 그녀에게 자신일 끝내기 전까지는 가만히 있으라고 말했다."

[say one's peace]

마지막으로 말하고 그만하다(화해하다) ['piece'를 동음이의어인 'peace'를 잘못 쓴 걸로 볼 수도 있지만 'hold one's peace'에서 보듯이 마지막 말인 데서]

"Please, this is not going to be used as a platform to hash out your beliefs v. my beliefs. I said my peace," she wrote. "I am sorry that you don't agree with my policy. I am certainly willing to live with my decision." (hash out : 잘게 썰다, 다지다; 철저하게 토의하다)  "부탁이에요. 이건 당신 의견과 내 의견을 철저히 논하고자 하는 연단으로 사용되는 게 아니에요. 그냥 마지막으로 얘기한 거예요."라고 그녀는 적었다. "당신이 네 정책과 동의하지 않는 것 유감이네요. 저는 확실히 제 결정으로 살아갈 겁니다."

[make one's peace]

화해하다 : to end an argument or disagreement that one has had with someone; to let go of a grudge after an argument

He wanted to make his peace with his father before he died.

"그는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에 아버지와 화해하고 싶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