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uEJ8K4uRszU
# He asked Davis (A)[the same question] he had asked Mitchell.
"Nothing disarranged, no, sir. You mean upset? That kind of thing?"
"I mean--well, shall we say something missing from the table, or something that would not usually be there?"
David said slowly:
"There was something. I noticed it when I was clearing up after the police had (B)[done with] the place. But I don't suppose that it's the sort of thing you mean. (C)[It's only that] the dead lady had two coffee spoons in her saucer. It does sometimes happen when we're serving in a hurry. I noticed it because there's a superstition about that; they say two spoons in a saucer means a wedding."
"Was there a spoon missing from anyone else's saucer?"
"No, sir, (D)[not that I noticed]. Mitchell or I must have taken the cup and saucer along that way--as I say, one does sometimes, (E)[whatever with] the hurry and all. I laid two sets of fish knives and forks a week ago. On the whole it's better than laying the table short, for then you should have to interrupt yourself and go and fetch the extra knife or whatever it is you've forgotten."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그는 데이비스에게 그가 미첼에게 물었던 같은 질문을 했다.
"선생님, 혼란스러운 것은 없었어요. 당혹스러운 거 말씀하시나요? 그런 종류의 것 말인가요?"
"제 말은요. 뭐 테이블에 없어진 게 있다거나 보통은 거기에 없는 것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나요?"
데이비드는 천천히 말했다.
"뭔가가 있었죠. 경찰이 그곳에 대해 처리를 한 후에 제가 청소하다가 그것을 알아차렸죠. 하지만 그게 선생님이 의미하는 그런 종류의 것이라고는 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망한 그녀의 차 접시에는 오직 2 개의 숟가락이 있었어요. 가끔은 있는 일이었죠. 바쁘게 서빙하다 보면 요. 그에 대해 미신이 있어서 눈치를 챘지요. 사람들은 차 접시에 2 개의 숟가락은 결혼식을 의미한다고 하죠."
"다은 사람의 차 접시에 숟가락이 실종된 것이 있었습니까?"
"아니요, 선생님. 제가 알아 차린 걸로는 아닙니다. 미첼 아니면 제가 그 길로 컵과 차 접시를 가져갔음이 틀림없었을 겁니다. 제 말은요, 바쁜 등등으로 가끔 그러는 법이죠. 일주일 전에 저는 2 세트의 생선 나이프와 포크를 올려놓았지요. 전체적으로 보면 테이블을 부족하게 차리는 것보다는 더 낫죠. 왜냐하면 그럴 경우면 하던 일을 중단하고 가서 여분의 나이프나 깜빡했던 어떤 것들이든 가져와야 하니까요."
[정답] E [whatever with] → [what with]
[어휘 또는 표현]
A : 'the same question' 뒤에 'as'나 'that'을 생략할 수 있다.
B : do with ~ : ~에 대해 처리하다
C : [It's only that] the dead lady had two coffee spoons in her saucer.
'only'가 강조된 것으로 원래 'only'는 'two ~'를 초점으로 만든다.
D : [not that I noticed] : 'that'은 관계사로 사용되고 있다. 'not that I know'와 유사한 구조이다.
[해설]
'whatever with A'는 'what with A'가 되어야 한다.
[what with A and (what with) B]
What with one thing and another, I couldn't sleep last night.
"이런저런 일로 어젯밤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what with A and (what with) B'에서 'A'와 'B'는 보통 명사나 동명사이고 '흔히 좋지 않은 사태의 원인 둘 이상'을 이끄는데 흔히 'A다 B다 하여' 또는 'A 하거나 B 하거나 하여'로 해석한다.
It occurred to him that what with one thing and another during the day, he had never checked Tillie's information about the warehouse robbery.
"낮에 이런저런 일로 해서 물품 창고의 도난 사건에 대한 틸리의 정보를 자신이 체크한 적도 없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처럼 보통은 명사가 뒤따르지만
What with the prices (being) so high and my wife (being) out of work, I can't afford a new refrigerator.
"물가는 비싸지 아내는 실직했지 그래서 나는 새 냉장고를 살 여유가 없다."
동명사는 'being'이 생략될 수 없다는 점에서 'what'은 'with 구문'과 연결된 것이다.
What with Carol (being) out of work and all, we didn't send any Christmas cards this year. "Carol도 실직했고 기타 등등으로 인해서 올해는 성탄 카드를 한 장도 보내지 않았다."
What with overwork and what with poor meal, he broke down.
"과로에다 변변찮은 음식으로 그는 병이 났다."
What with school and (what with) work to earn my living, I had little time to play.
What between school and work to earn my living, I had little time to play.
"한편으론 학업이다, 한편으론 생계를 위한 일이다 하여 놀 틈은 없었다."
'what with A and (what with) B'는 'A다 B다 하여'(원인)의 뜻으로 쓰인다. 드물게 'what between A and B'로도 쓰인다.
What with the bad weather this spring I wasn't able to do much gardening.
"이 봄엔 나쁜 날씨로 정원 일을 많이 할 수 없었다."
'what with A'로 하나만 쓰이는 경우도 드물게 있기는 하다.
What by threats and what by entreaties, he finally had his will.
"협박도 하고 애원도 해서 그는 결국 소원을 이루었다."
'방법'을 나타낼 때는 'what by A and what by B'를 사용한다.
as I say, one does sometimes, (E)[what with] the hurry and all.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at with 3 (0) | 2023.06.23 |
---|---|
comprise 타동사 (cf. surprise, enterprise, prison) (0) | 2023.06.20 |
or 와 otherwise 그리고 different than (0) | 2023.06.13 |
suggest 직설법 vs. suggest 원형 or should 원형 (0) | 2023.06.12 |
(With) that said 그렇다고는 하지만 (1) | 202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