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3. 6. 18. 09:4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uEJ8K4uRszU

 

# He asked Davis (A)[the same question] he had asked Mitchell.

"Nothing disarranged, no, sir. You mean upset? That kind of thing?"

"I mean--well, shall we say something missing from the table, or something that would not usually be there?"

David said slowly:

"There was something. I noticed it when I was clearing up after the police had (B)[done with] the place. But I don't suppose that it's the sort of thing you mean. (C)[It's only that] the dead lady had two coffee spoons in her saucer. It does sometimes happen when we're serving in a hurry. I noticed it because there's a superstition about that; they say two spoons in a saucer means a wedding."

"Was there a spoon missing from anyone else's saucer?"

"No, sir, (D)[not that I noticed]. Mitchell or I must have taken the cup and saucer along that way--as I say, one does sometimes, (E)[whatever with] the hurry and all. I laid two sets of fish knives and forks a week ago. On the whole it's better than laying the table short, for then you should have to interrupt yourself and go and fetch the extra knife or whatever it is you've forgotten."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그는 데이비스에게 그가 미첼에게 물었던 같은 질문을 했다.

"선생님, 혼란스러운 것은 없었어요. 당혹스러운 거 말씀하시나요? 그런 종류의 것 말인가요?"

"제 말은요. 뭐 테이블에 없어진 게 있다거나 보통은 거기에 없는 것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나요?"

데이비드는 천천히 말했다.

"뭔가가 있었죠. 경찰이 그곳에 대해 처리를 한 후에 제가 청소하다가 그것을 알아차렸죠. 하지만 그게 선생님이 의미하는 그런 종류의 것이라고는 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망한 그녀의 차 접시에는 오직 2 개의 숟가락이 있었어요. 가끔은 있는 일이었죠. 바쁘게 서빙하다 보면 요. 그에 대해 미신이 있어서 눈치를 챘지요. 사람들은 차 접시에 2 개의 숟가락은 결혼식을 의미한다고 하죠."

"다은 사람의 차 접시에 숟가락이 실종된 것이 있었습니까?"

"아니요, 선생님. 제가 알아 차린 걸로는 아닙니다. 미첼 아니면 제가 그 길로 컵과 차 접시를 가져갔음이 틀림없었을 겁니다. 제 말은요, 바쁜 등등으로 가끔 그러는 법이죠. 일주일 전에 저는 2 세트의 생선 나이프와 포크를 올려놓았지요. 전체적으로 보면 테이블을 부족하게 차리는 것보다는 더 낫죠. 왜냐하면 그럴 경우면 하던 일을 중단하고 가서 여분의 나이프나 깜빡했던 어떤 것들이든 가져와야 하니까요."

[정답] E [whatever with] → [what with]

[어휘 또는 표현]

A : 'the same question' 뒤에 'as'나 'that'을 생략할 수 있다.

B : do with ~ : ~에 대해 처리하다

C : [It's only that] the dead lady had two coffee spoons in her saucer.

'only'가 강조된 것으로 원래 'only'는 'two ~'를 초점으로 만든다.

D : [not that I noticed] : 'that'은 관계사로 사용되고 있다. 'not that I know'와 유사한 구조이다.

[해설]

'whatever with A'는 'what with A'가 되어야 한다.

[what with A and (what with) B]

What with one thing and another, I couldn't sleep last night.

"이런저런 일로 어젯밤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what with A and (what with) B'에서 'A'와 'B'는 보통 명사나 동명사이고 '흔히 좋지 않은 사태의 원인 둘 이상'을 이끄는데 흔히 'A다 B다 하여' 또는 'A 하거나 B 하거나 하여'로 해석한다.

It occurred to him that what with one thing and another during the day, he had never checked Tillie's information about the warehouse robbery.

"낮에 이런저런 일로 해서 물품 창고의 도난 사건에 대한 틸리의 정보를 자신이 체크한 적도 없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처럼 보통은 명사가 뒤따르지만

What with the prices (being) so high and my wife (being) out of work, I can't afford a new refrigerator.

"물가는 비싸지 아내는 실직했지 그래서 나는 새 냉장고를 살 여유가 없다."

동명사는 'being'이 생략될 수 없다는 점에서 'what'은 'with 구문'과 연결된 것이다.

What with Carol (being) out of work and all, we didn't send any Christmas cards this year. "Carol도 실직했고 기타 등등으로 인해서 올해는 성탄 카드를 한 장도 보내지 않았다."

What with overwork and what with poor meal, he broke down.

"과로에다 변변찮은 음식으로 그는 병이 났다."

What with school and (what with) work to earn my living, I had little time to play.

What between school and work to earn my living, I had little time to play.

"한편으론 학업이다, 한편으론 생계를 위한 일이다 하여 놀 틈은 없었다."

'what with A and (what with) B'는 'A다 B다 하여'(원인)의 뜻으로 쓰인다. 드물게 'what between A and B'로도 쓰인다.

What with the bad weather this spring I wasn't able to do much gardening.

"이 봄엔 나쁜 날씨로 정원 일을 많이 할 수 없었다."

'what with A'로 하나만 쓰이는 경우도 드물게 있기는 하다.

What by threats and what by entreaties, he finally had his will.

"협박도 하고 애원도 해서 그는 결국 소원을 이루었다."

'방법'을 나타낼 때는 'what by A and what by B'를 사용한다.

as I say, one does sometimes, (E)[what with] the hurry and all.

Posted by 연우리
연어2023. 6. 18. 09:0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vUmuuSpcrAY

 

# James's heart lurched at the thought of Pa and Dr. Robinson and the others wallowing in some jail cell.

"Well," Ma said, "I surely hope a little threat like that didn't stop thee from doing what was right."

"A little threat, Mrs. Weaver? Franklin Pierce i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e is a free man, Mr. Weaver, (A)[       ] thee wouldn't be here tonight telling us this tale."

"True," Pa said, deflated. "We took the oath of office. Had to, to be sure the free-state constitution would be recognized throughout the territory."

"Well, so it was a (B)[               ] in a teapot." Ma said, with a bit of play in her voice. James looked up from his drawing, watched her knit another round on the bonnet before she said, "I'm just as pleased not to be taking plum cake to the jailhouse, Caleb."

#1. 빈칸 (A)에 들어갈 가장 짧은 단어를 넣으시오.

#2. 빈칸 (B)에 들어갈 단어는? ('찻잔 속의 태풍'에서 '태풍'말고 '폭풍우'에 해당되는 단어. ㅎ 'storm'말고.)

[해석] 제임스의 마음은 아빠와 로빈슨 박사 그리고 어느 감방에서 뒹굴었던 다른 사람들의 생각으로 기울었다.

"뭐, 저는 확실히 희망해요. 그런 작은 위협이 님이 옳은 것을 행하는 것을 막지 못했기를 희망해요."라고 엄마는 말했다.

"위버 부인, 작은 위협이라뇨? 프랭클린 피어스는 미합중국의 대통령이에요."

"그리고 위버 씨, 님은 자유인이지요. 그렇지 않다면 님은 오늘 밤 여기서 우리에게 이런 이야기하고 있지는 않겠죠."

"사실이긴 하죠."라고 오 그러들며 아빠는 말했다. "우린 복무 선서를 했어요. 그래야만 했죠. 자유주 헌법이 준주 전체를 통해서 확실히 인정되게 하기 위해서죠.

"뭐, 그래서 그건 찻잔 속의 태풍이네요"라고 엄마는 말하는데 목소리에는 약간의 장난기가 있었다. 제이스는 줄을 당기는 데서 눈을 떼어 올려 쳐다보았다. 엄마가 보닛에 한 라운드를 더 뜨개질하며 말했다. "세일 럽, 전 감방에 건포도 케이크를 가져가지 않아도 되는 게 그만큼 기뻐요."

[정답] 1. (A) : or 2. (B) : tempest

[어휘 또는 표현]

deflated : 오그라든, 수축된; 자신을 잃은

take the oath of office : 복무의 선서를 하다. 취임 선서를 하다

tempest [témpist] : 폭풍우; 사나운 비바람; 대소동, 대혼란; ~을 격렬히 휩쓸다[어지럽히다] : a violent windy storm : (L tempus : time, season → L tempestas : season, weather, storm → O F tempeste) [시간, 계절에 따르는 폭풍우에서, 'tim(p)e~'으로 기억하자.]

[해설]

'otherwise'보다는 'or'가 짧다.

[a tempest in a teapot]

컵 안의 폭풍 (찻잔 속의 태풍); 사소한 일로 소동 피우기 : a great commotion over an unimportant matter

1C BC 키케로(Cicero)가 처음 사용한 라틴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식으로는 'a storm in a teacup'이 많이 사용된다. 'a tempest in a teacup', 'storm in a cream bowl', 'a tempest in a glass of water', 'storm in a washhand basin', 'storm in a glass of water' 등이 적은 빈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He haughtily dismissed the affair as 'a tempest in a teapot'.

"그는 그 연애 사건을 '찻잔 속의 태풍'이라고 오만하게 무시했다."

 

'연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se the joint 미리 장소를 살펴보다  (0) 2023.06.23
shy rocks 돌을 휙 던지다  (0) 2023.06.20
lay the table short 식탁을 부족하게 차리다  (0) 2023.06.14
not carry a tune 음치다  (0) 2023.06.12
seal the deal  (2) 2023.06.11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3. 6. 16. 17:1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piYvm1qaxLE

 

4373. [경기대학교 2014]

A (A)[19-year-old] male was rushed to a hospital

B)[at] critical condition after (C)[being] shot (D)[in] the chest.

4373. [적합한 전치사의 선택]

정답 - B [at] → [in] : 'at'은 크기가 어떻든 점으로 보는 것이고, 'on'은 선이나 면으로 보는 것이고, 'in'은 입체로 보는 것이다. 위독한 상태는 입체적인 것으로 간주하므로 전치사는 'in'을 사용한다.

D : 가슴에 총을 맞으면 구멍이 들어가므로 입체적으로 'in'을 사용하는 것은 당연하다.

[해석] 19 살 남자가 가슴에 총을 맞은 후에 위독한 상태에서 병원으로 급송되었다.

4374. [동덕여자대학교 2014]

The instructor had gone (A)[over] the problems (B)[many times] (C)[before] the students (D)[will take] the final examination.

4374. [과거 완료와 과거]

정답 - D [will take] → [took] : 앞에 과거 완료가 있으므로 그 기준점이 되려면 미래가 아니라 과거가 사용되어야 한다.

[해석] 강사는 학생들이 최종 시험을 치르기 전에 여러 번 문제들을 점검했다.

4375. [상명대학교 2014]

It is (A)[best] (B)[to set aside] (C)[the multiple-choice questions] on a test and (D)[go them over] (E)[at the end].

4375. [구동사의 전치사와 부사]

정답 - D [go them over] → [go over them] : 'over'는 전치사와 부사 양쪽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go'가 자동사이므로 'them'을 목적어로 취하지 못하고 따라서 'them'은 '전치사 over'의 목적어가 되어야 한다.

​[해석] 선택형 문제들은 시험에서 따로 두었다가 끝에 가서 푸는 것이 최선이다.

4376.*[중앙대학교 2014]

A banker who (A)[was vanished] in an apparent suicide in 2012 and (B)[was wanted] by the FBI in connection with a $20 million wire fraud case has been arrested in Georgia after (C)[being pulled] over for a minor traffic violation. (D)[No error]

4375. [능동과 수동 + 수동형 동명사 + 구동사의 전치사와 부사]

정답 - A [was vanished] → [vanished] : 'vanish'는 보통 자동사로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는다. 억지로 타동사로 수동태가 되면 '안 보이게 한, 소멸시킨'의 뜻으로 '겉보기의 자살'과 연결되지 않는다.

vanish [vǽniʃ] : [보이던 것이] [특히 갑자기 시야에서] 사라지다, 보이지 않게 되다; [빛·색 등이] 희미해지다, 바래다, 소멸되다; [지금까지 존재하던 것이] (어느덧, 수수께끼같이) 사라지다, 없어지다; [감정 등이] 없어지다, 사라지다; [수학] 영이 되다; (타동사) ~을 사라지게 하다, 안 보이게 하다; ~을 소멸시키다 : (L evanescere : die away ex- + van(us) : vain + -escere : inchoative suffix(기동 접미사) → O F e(s)vanir → O F esvaniss-) [무시하고 'vani-'를 'vain'으로 없어지게 하는 것으로 기억하자.]

D : 'pull ( ) over'는 옛날 마차 몰 때 사용하던 용어로 차에도 적용이 된다. 고삐를 댕겨 넘겨(over) 길 가로 차를 대는 겁니다. 'pull over'는 스스로 차를 댕겨서 세우는 것이면 자동사로 사용되는 것이고 경찰이 댕겨서 세우게 하면 타동사로 사용되는 겁니다. 여기서는 수동형 동명사로 사용되고 있다.

[해석] 2012 년 겉보기의 자살로 실종되었고 2천만 달러 통신 사기 사건과 연관해서 FBI에 의해서 수배되었던 한 은행인이 조지아 주에서 경미한 교통 위반 후에 길가로 차가 세워진 후에 체포된 바 있다.

Posted by 연우리
표현2023. 6. 15. 22:0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gGEvxflMDB4

 

#1. "I would not say I am not curious, sir. However, it is not my position to display curiosity about such matters."

"It's not your position? Ah, I suppose you believe that to be loyalty. Do you? Do you think that's being loyal? To his lordship? Or to the Crown, come to (A)[     ]?"

#2. She went on to confess that she had never been to a cocktail party, and Pop said: "Come to (B)[       ], neither have I!"

# 빈칸 (A)와 (B)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선생님, 전 호기심이 없다고는 말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그런 문제들에 대해서 호기심을 드러내는 것은 제 입장이 아닙니다."

"그게 당신의 입장이 아니라고요? 아, 제 생각엔 그걸 충성심이라고 믿는군요. 그렇습니까? 그게 충성스러운 거라고 생각하세요. 경에게? 혹은 그에 관한한 국왕에게?

[#2. 해석] 그녀는 이어서 자신은 칵테일파티엔 가본 적이 없다고 털어놓았고 아빠는 "말이 나왔으니까 하는 말인데, 나도 그래 본 적이 없네요."라고 말했다.

[정답] (A)와 (B) : that

[해설]

[(if it) come to that]

: 그 일에 관해서는 : if it is a question of that (= now that I think of it or since you mention it)

Come to that, I'll not change my mind.

"그 일에 관해서라면 난 마음을 바꾸지 않을 것이다."

[가정법 현재(Present subjunctives)]

'if it come to that'은 조건절인데 'it' 다음에 원형인 'come'이 사용되고 있다.

조건절이나 양보절에서 옛날에 사용되던 원형을 '가정법 현재'나 '원형 가정법'이라고 한다. 과거에 'if it come to that'을 사용하던 것이 'if it'이 생략되면서 만들어진 형태이다.

가정법에 가서 이 '원형 가정법'에 대해서 자세히 배우기로 한다. 여긴 '표현' 파트이므로 표현을 외워두기 바란다.

 

'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far cry from 2 딴판  (0) 2023.06.21
when it comes down to it, 정말 긴요할 때, 궁극적으로  (1) 2023.06.18
with panache 2 멋지게, 당당하게  (0) 2023.06.13
to wit 즉, that is to say  (0) 2023.06.11
Get my mind around ~ 파악하다  (0) 2023.06.08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