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3570건

  1. 2023.06.30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33회]
  2. 2023.06.30 legal tender 법정 화폐
  3. 2023.06.29 hear of 와 hear from
  4. 2023.06.29 not on your life 절대 아니지
편입 문법 3000 Plus2023. 6. 30. 23:4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mMR0K2EkJpw

 

4401. [동덕여자대학교 2014]

(A)[Most of] his pictures (B)[have found their way] into museums, and (C)[the rest is] the treasures of wealthy (D)[amateurs].

4401. ['of 명사'에 따르는 주어 동사의 일치]

정답 - C [the rest is] → [the rest are] : 'the rest' 뒤에는 'of the pictures'가 숨어 있으므로 동사는 'are'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그의 그림들의 대부분은 박물관들로 흘러 들어갔고 나머지는 부유한 아마추어들의 귀중품들이 되어 있다.

4402. [상명대학교 2014]

Our teacher (A)[expects us] to be on time, (B)[to do] (C)[all our homework], and (D)[sitting] quietly (E)[in class].

4402. [대등 병치]

정답 - D [sitting] → [to sit] : 'and sitting'과 병치된 대등한 표현이 없다. 부정사로 바꿔야 한다.

[해석] 우리 선생님은 우리가 시간을 지키고, 모든 숙제를 하고, 수업 시간에는 조용히 앉기를 기대하신다.

4403. **[숙명여자대학교 2014]

It was (A)[not until] the railway accident and his hospital (B)[confinement] ten years ago (C)[when] he (D)[made up] his mind to (E)[make] a medical doctor.

4403. [특수한 의미의 전치사 'It ~ that' 강조 구문 사용]

정답 - C [when] → [that] : '특수한 의미를 갖는 until'은 '관계 부사 when'으로 전환할 수 없으므로 'It ~ when 강조 구문'을 쓰지 않고 'It ~ that 강조 구문을 사용한다.

E : '노력이나 자질에 의해서 되는 것'은 'make'를 사용한다.

[해석] 10 년 전에 철도 사고와 병원 입원 후에 비로소 그는 의사가 되겠다고 결심했다.

[PT24-8]0851. ⋆ [서울여자대학교 2004-1]

It was (A)[not until] 1895 (B)[when] the (C)[southernmost] source of the river (D)[was] discovered.

[PT24-8]0851. ['it ~ that 강조 구문']

정답 - B : [when] → [that] : 'until'같은 특수한 의미를 갖는 전치사는 관계 부사 'when'으로 전환할 수 없으므로 강조 구문의 'focus'에 'not until ~'이 온 경우에는 'It ~ when 강조 구문'을 쓰지 않고 'It ~ that 강조 구문'을 사용한다.

[해석] 1895년에 비로소 이 강의 가장 남쪽의 발원지가 발견되었다.

4404. **[한양대학교 2014]

The modern origins of ethno-nationalist terrorism can be found in Ireland, (A)[whose] residents have been locked in a struggle with the English for most of the island's recorded history. The pope granted the English overlordship of the Irish in the twelfth century, but it was not until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that England's rulers settled large numbers of colonists on the best land in northeast Ireland, (B)[what] became known as the Plantation of Ulter. To make matters worse, the new colonists were protestants, while the native Irish (C)[who] were driven from their land or forced into penurious tenant farming remained loyal Catholics. The result was a tangled web of national, religious, and economic hatreds. Actual ethnic differences receded by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since English and Scottish colonists had come to regard themselves as native-born Irish. Political divisions hardened when the United Kingdom of England and Scotland directly incorporated Ireland, thus dividing the Irish into two political blocs. Unionists were northerners (D)[who] regarded union with Britain as the best guarantor of their Protestantism and economic superiority, while republicans were Southerners and Northern Catholics who hoped for Irish independence. This created two overlapping conflicts: one between Irish republicans and the British, and one between Irish unionists and Irish republicans.

4404. ['지역의 what'이 아닌 경우]

정답 - B [what] → [which] : 다음 설명되는 '지역의 what'이 아닌 경우이므로 선행사가 있는 경우로 관계사는 'which'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종족-민족주의 테러의 현대적 기원은 아일랜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아일랜드 주민들은 기록된 이 섬의 대부분의 역사 동안 영국과의 투쟁에 얽혀있어 왔다. 교황은 12 세기에 아일랜드의 대영주 권을 영국에 넘겼지만 16 세기와 17 세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영국의 통치자들은 많은 수의 식민지 사람들을 동북부 아일랜드의 최고의 땅에 정착시켰는데 이곳은 얼스터 농장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더욱 상황을 악화시킨 것은 새 식민지 사람들은 신교도인 반면에 자기 땅에서 쫓겨나거나 힘이 드는 소작농의 처지가 되었던 아일랜드 원주민들은 여전히 충성스러운 가톨릭이었다. 결과는 국가적, 종교적, 경제적인 증오가 얽히고 설키게 된 것이었다. 하지만 영국과 스코틀랜드 식민지 사람들이 자신들을 아일랜드 원주민으로 간주하게 되어서 실제적인 민족 간의 차별은 19 세기에는 줄어들었다.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통합 왕국이 직접 아일랜드를 병합하고 아일랜드는 두 개의 정치적인 블록으로 분할하면서 정치적인 분할은 심화되었다. 통합주의자들은 영국과의 통합이 신교와 경제적인 우월성을 가장 잘 보장하는 것이라고 여기는 북부 사람들이고 반면에 공화주의자들은 아일랜드의 독립을 희망하는 남부 사람들과 북부의 가톨릭이었다. 이것이 두 개의 상충되는 투쟁을 야기했다. 하나는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과 영국 간의 투쟁이고 또 하나는 아일랜드 통합주의자들과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 간의 투쟁이다.

[지역의 'what'] ⋆⋆

By the end of the Ice Age, the area that is now New England had been literally reformed by glacial activity. "빙하 시대 말에는 지금으로 치자면 뉴잉글랜드인 지역은 글자 그대로 빙하 활동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New England had been ~'을 써도 될 것 같은데 그냥 쓰게 되면 빙하시대에 'New England'라는 명칭이 없었다는 논리적 모순이 생긴다. 이를 피하기 위해 ‘지금으로 치면 'New England'에 해당되는’이라는 관계절을 동원해서 논리적인 모순을 피한다.

The first European people to live in what is now Alaska were Russians who had journeyed over to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in search of gold.

"지금으로 치자면 알래스카에 해당하는 곳에 살았던 최초의 유럽인들은 금을 찾아서 북아메리카의 서부 해안을 따라 건너온 러시아인들이었다."

'the area which is now Alaska'에서 선행사인 'the area'와 'which'를 융합시켜 'what'으로 바꿀 수 있는데 이 경우의 'what'을 '지역의 what'이라 칭한다.

During the 1600's skilled shoemakers were scarce in what is now the United States. "1600 년대에 솜씨 좋은 구두 제조인들이 지금으로 치면 미국에 해당되는 지역에는 드물었다."

해석할 때는 그냥 빨리 'in the United States'로 이해하면 된다.

Rachel Thompson was born in Georgia on December 24, 1786 and died near what is today Stilwell, Oklahoma, on April 22, 1876.

"레이첼 톰슨은 1786 년 12 월 24 일에 조지아에서 태어났으며 지금으로 치면 오클라호마 주의 스틸웰 인근에서 1876 년 4 월 22 일에 사망했다."

They were Arabs from what is now Libya, then called Tripoli.

"그들은 당시에는 트리폴리라 불렸던 지금으로 치면 리비아 출신이었다."

The Beaufort station was located not far from what is today Beaufort Avenue in Livingston, NJ. "보퍼트 역은 오늘날로 치자면 뉴저지 주 보퍼트 가에 해당되는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했었다."

[ET21-1-1]0748. ⋆⋆ [고려대학교 2007-1]

(A)[Founded in] 427 in northeastern India, not far from (B)[where is today] the southern border of Nepal, and (C)[surviving until] 1197, Nalanda was one of the first great universities in (D)[recorded] history.

[ET21-1-1]0748. ['지역의 what']

정답 - B : [where] → [what] : 'where'는 'in which'로 본다면 주어가 없고 물론 '전치사 from'의 목적어도 없어서 곤란하다. 'is now ~'나 'is today ~' 또는 드물게 'is to become'이 나오면 'the area which'에 해당되는 일명 ‘지역의 what’을 써야 한다. ‘오늘날의 네팔 남쪽 국경’으로 해석할 수 있다. 427년에는 네팔이란 지명이 없는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표현이다. 논리를 무시하고 'from the southern border of Nepal'로 그냥 빨리 이해해도 좋다.

A : 설립된 것이므로 과거 분사를 쓴 것이 맞다.

C : 1197 년까지 존속한 것은 자동사이므로 현재 분사를 쓴 것이 맞다.

A. C : 모두 분리된 전치 수식이다.

D : 이 경우 'history'는 불가산 명사로 정관사가 필요 없다.

[해석] 인도의 동북부 오늘날의 네팔 남쪽 국경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설립되어서 1197년까지 존속했던 나란다는 기록된 역사상 최초의 위대한 대학교 중의 하나였다.

 
Posted by 연우리
연어2023. 6. 30. 23:06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kXiNBTTHDok

# "And you . . ." Sabine faced Casey, trying to smile at her. Her voice grew gentle. "Stop by my office today after work."

"Sorry. Can't do it. Tina will be here after work. I haven't seen her in over a year." Casey had missed her MIT graduation. She wouldn't keep Tina waiting. "Tell me whatever it is you want to now." She wasn't the least bit ashamed of her behavior that afternoon. If Sabine wanted to fire her, take back the offer to pay for B school, have her return the watch, Casey didn't give a rat's ass. She'd grown up without Rolexes--her friendships were not negotiable for legal (A)[         ] or gifts. Casey refused to make eye contact. The more she thought about it, the angrier she grew. "I said I was sorry, Sabine. You know I wouldn't have left unless it was urgent. Ella had a genuine crisis."

# 빈칸 (A)에 'extend'와 연관된 적합한 단어를 넣으시오.

[해석] "그리고 자네. . ." 사빈은 케이시와 얼굴을 마주 하면서 미소 지으려 했다. 그녀의 목소리는 부드러워졌다. "오늘 일 끝나고 내 사무실로 들르세요.

"죄송한데요. 그럴 수 없어요. 티나가 일 끝나고 이리 온다고 해서요. 1 년 넘게 못 봤거든요." 케이시는 티나의 MIT 졸업식에 가지 못했다. 티나를 마냥 기다리게 할 수 없었다. " 하실 말 있으면 무엇이든 지금 말하세요." 케이시는 오후에 했던 일에 대해서 조금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사빈이 해고하기 원하거나, 경영 대학원 돈 대어주겠다는 제안을 취소하거나 시계를 다시 가져오라고 해도 케이시는 전혀 신경 쓰지 않았다. 케이시는 어차피 롤렉스 없이 자랐다. 자신의 친구들은 법정 화폐나 선물로 협상할 수 있는 게 아니었다. 케이시는 눈이 마주치는 것을 피했다. 더 많이 그에 대해 생각할수록 더 많이 화가 났다. "사장님(사빈) 제가 잘못했다고 말했어요. 비상시가 아니었다면 제가 그렇게 자리를 뜨지는 않았을 거 아실 거예요. 엘라는 정말 심각했어요."

[정답] (A) : tender

[어휘 또는 표현]

[not give a rat's ass / arse]

쥐꼬리만큼도 신경 쓰지 않다, 쥐뿔도, 눈곱만큼도 신경 쓰지 않다 : I don't care. = I don't give a shit.

Do whatever you want. I don't give a rat's ass.

I don't give a rat's ass about making money, I just want to do something with my life that makes life better for others.

대신해서 'tinker's curse / cuss / damn'을 사용하기도 한다. [ㅎ 요정 Tinker Bell(팅커벨)은 조그만 하죠. 쥐꼬리만 한가요?]

[해설]

[legal tender]

법정 화폐 : coins or banknotes that must be accepted if offered in payment of a debt

우리 말로는 '화폐'라 하지만 코인도 포함됩니다. 요즘 말하는 김남국 코인은 아지지만요. 'when offered("tendered")'에서 라틴어 'tendere'(reach out)가 불어 'tendre'(to offer)가 되었다가 'tender', 즉 'extend'와 같은 어원으로 연결됩니다. '부드러운'(tender)는 라틴어 'tenerum'(soft)와 연관된 별개의 단어입니다.

When did the note cease to be legal tender?

"저 지폐는 언제 법정 화폐로 자격을 잃었습니까?"

These coins are no longer legal tender. "이 코인들은 더 이상 법정 화폐가 아니다."

 
Posted by 연우리
구동사2023. 6. 29. 19:51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LlC2DHiOEAY

 

# I was dating a guy seriously for three months when he suddenly disappeared. I didn't hear (A)[      ] him for days. I was worried, so I called his best friend and he told me that my boyfriend got back together with his old girlfriend and moved in with her. I get that he's just not that into me, but don't I have the right to find out how he could do that to me? Don't I have the right to not let him get away (B)[       ] it?

#1.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2. 빈칸 (B)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저는 한 사람과 3 달 동안 진지하게 데이트해 왔는데 갑자기 사라져버렸어요. 며칠 동안 연락도 못 받았어요. 걱정이 되어서 그의 베프에게 전화했더니 제 남자 친구는 옛 여자 친구에게 돌아가서 함께 산다네요. 그가 그렇게 절 좋아하진 않았다는 걸 이해는 합니다만 어떻게 저한테 그럴 수 있는지 알아볼 권리는 있는 거 아닌가요? 그런 짓을 하고도 넘어갈 수 있도록 허용하지 않을 권리는 있는 거 아닙니까?

[정답] 1. (A) : from 2. (B) : with

[해설]

['hear of'와 'hear from']

How did you hear ( ) of our product? Was it through our advertisements?

We only heard ( ) of your intended visit yesterday!

She described herself as a famous singer, but no one in the town had heard ( ) of her.

'hear of'의 경우에는 생략된 부분이 다른 사람들의 'words, report, news'다.

We were so worried when we didn't hear ( ) from you for three weeks.

Let me hear ( ) from you now and again, will you?

'hear from'의 경우에는 생략된 부분이 당사자로부터의 편지, 전화, 전보 등의 연락이다.

I didn't hear (A)[from] him for days.

If you don't obey him, you will hear ( ) from him. (야단맞다) (scolding)

Do not pay the increased tax until you hear ( ) from the government. (경고장)

[get away with ~]

~을 하고도 넘어가다

Don't I have the right to not let him get away (B)[with] it?

 

'구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 put off 그리고 stay put  (0) 2023.07.03
not let on 드러나게 하지 않다  (0) 2023.07.01
pit ~ against ~ 3  (0) 2023.06.27
grind on 질질 끌며 계속되다  (0) 2023.06.25
jump out at ~ 눈에 띄다, 갑자기 덤벼들다  (0) 2023.06.21
Posted by 연우리
표현2023. 6. 29. 19:3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_9CpL0UL81g

 

# James studied the hill. There were not just men up there, but horses and tents. Looked like they'd be camping there for a good long time. Smoke swirled up from a campfire as if it'd been called out by a snake charmer.

"Want to climb up and investigate?" Will asked.

"Not on your (A)[         ], moron," Jeremy answered. "Those men look mean and evil as weevil."

Mean? How could Jeremy tell from so far away? And evil, well, that was something altogether different. But just the same, James thought they should head home. "Well, my pa's expecting me to help him butcher a hog," he said, though it wasn't true, and his father wouldn't have the first inkling about which end to butcher, and which end to kiss.

 

#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제임스는 산쪽을 살폈다. 거기엔 사람들만 있는 건 아니었다. 말들과 텐트들도 있었다. 꽤 오랫 동안 거기 야영할 거 같아보였다. 캠프파이어에서 연기가 올라오고 있었는데 뱀 부리는 사람이 불러 낸 거 같았다.

"올라가서 살펴볼래?"라고 윌은 물었다.

"바보야. 절대 안되지."라고 제레미는 대답했다. "저 남자들은 야비하고 졸라 악마같아 보여."

야비하다고? 제레미는 그렇게 멀리서 어떻게 구분할 수 있겠나? 그리고 악마, 뭐, 그건 완전히 다른 거지. 하지만 그래도 제임스는 자신들이 집으로 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뭐, 우리 아빠는 내가 돼지 잡는 거 돕기를 기대하고 계셔."라고 그는 말했다. 사실은 아니었지만. 그리고 아버지라면 어느 부분으로 도살하고 어느 부분으로 뽀뽀할 지에 대해 흐릿한 생각도 없는 분이다.

[정답] (A) : life

[어휘 또는 표현]

weevil [wíːvəl] : 바구미 : 악마처럼 못 생긴 벌레

evil as weevil : 졸라 악마같은

a snake charmer : 뱀 부리는 사람

his father wouldn't have the first inkling ~

주어에 가정법 조건이 숨어 있다.

[해설]

[not on your life]

절대로 아니다 : absolutely not; used as a very forceful way of saying "no" or "never"

not (if your life depended) on it → not (if it depended) on your life

'목숨을 걸면 절대 아니지'란 의미로 '전치사 on'을 사용하는 것을 기억하자.

You are not going to stand me up again? "또 바람 맞히는 건 아니겠지?"

Not on your life. "절대로 아냐."

Do the government's policies really help the average worker?

"정부 정책들은 보통 노동자를 정말 돕는 거지?"

Not on your life. "목숨 걸어봐. 절대 아니지."

Posted by 연우리